하이퍼인플레이션의 정의
최근 통화량의 증가로 화폐가치가 하락하여 물가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경제 현상인 인플레이션으로 많은 이들이 어려워하고 있습니다. 이 인플레이션이 악화되면 통제를 벗어나는 상태인 "하이퍼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미국이나 유럽, 한국등 많은 국가들이 경기가 안 좋은 데도 불구하고 물가상승을 막기 위해, 금리를 올리고 테이퍼링을 실시하여 다시 돈을 회수하고 있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하이퍼인플레이션은 특정 국가의 통화가 급격히 가치를 잃어 가격 상승률이 매우 높아지는 경제 상황을 말합니다. 보통 하루 종일 가격이 계속해서 상승해서 아침의 빵 가격과 저녁의 빵 가격이 엄청나게 다른 현상, 경제적 위기를 의미합니다.
하이퍼인플레이션은 언제 일어날까?
하이퍼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이 정부와 시장의 통제를 벗어난 상태로 수백, 수천 퍼센트의 인플레이션율을 기록하는 상황입니다. 일반적으로 하이퍼인플레이션이 일어나는 시기는 대부분 전쟁이나 정치적 쿠테타나 혁명 등, 국가 내 지역 사회게 크게 혼란한 상황이 발생하거나, 정부가 재정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돈을 엄청나게 풀었을 때, 그 결과로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하이퍼인플레이션 용어의 등장
하이퍼인플레이션이라는 용어는 20세기 초기의 독일의 제 1차 세계 대전 이후 극도의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920년대 후반 독일은 제1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국가 파탄과 고용 부족으로 인한 물가상승으로 인플레이션 문제를 겪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1923년부터 1924년까지 독일은 신용 급등과 과도한 화폐 발행으로 금리가 급격하게 상승하였고, 그 결과로 인해 가치가 저하되는 화폐로 인해 물가가 급격히 상승하여 하이퍼인플레이션 상황에 처하게 되었습니다.
하이퍼인플레이션이 위험한 이유
하이퍼인플레이션은 경제적 안정성을 파괴하며,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가격 상승과 함께 실질적인 구매력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국민들의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10년 ~ 20년 열심히 일하고 열심히 모아서 은행에 모아둔 사람은 그 피해가 더 막심하게 됩니다. 어제는 1000원으로 빵 하나를 사 먹을 수 있었는데, 하이퍼인플레이션 영향으로 인해 오늘은 10만 원을 주어도 빵하나를 사 먹을 수 없다면, 그 사람의 그동안의 노력과 성실함은 무엇으로 보상받을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급격한 가격 상승 으로 인한 화폐가치의 급락과 물가의 급격한 상승으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은 급격히 상승하게 될 것이고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삶의 기본 비용조차 지불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결국 국민의 삶의 질이 바닥을 치게 되는 게 가장 첫 번째 문제입니다.
경제 파탄 이 두번째 이슈입니다. 화폐 가치가 급락하면, 국가의 경제 전반적인 안정성이 무너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기업들은 생산을 줄이고 구직자들이 늘어나며, 이는 다시 물가 상승과 실질적인 구매력의 하락을 불러오게 됩니다. 한마디로 나라와 기업과 가계가 망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하이퍼인플레이션은 경제적 안정성을 파괴하며,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가격 상승과 함께 실질적인 구매력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국민들의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따라서 각 국가의 정부와 중앙은행은 하이퍼인플레이션을 방지하기 위해 경제 정책을 조율하며,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미리 예방하고 노력하게 됩니다.
하이퍼인플레이션이 발생한 국가들
- 독일 ( 1920년대 후반 제 1차 세계대전 직후)
- 헝가리 ( 1945년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
- 짐바브웨 ( 2000년 )
독일은 제1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과도한 화폐 발행으로 인해 하이퍼인플레이션을 초래하였고, 헝가리의 경우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다양한 정치적 혼란과 경제적 문제가 이슈를 야기하였습니다. 헝가리 정부는 과도한 화폐 발행으로 경제 상황을 해결하려 했으나, 그 결과로 하이퍼인플레이션 상황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짐바브웨의 경우, 농지 개혁과 관련된 정치적 혼란과 국제 제재 등이 하이퍼인플레이션 발생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한, 정부가 통화를 너무 많이 발행하여 화폐 가치가 급락하고 물가가 급격히 상승하는 상황이 발생하였습니다.
우리도 주의해야 하고, 대비해야 합니다.
지금 발생하고 있는 인플레이션을 막지 못하면 하이퍼인플레이션을 초래하여 경제가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돈의 가치가 급격히 하락하여 돈의 배신의 시대가 도래하는 것입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미국과 유럽 국가들의 엄청났던 돈 풀기로 인한 급격한 통화 팽창, 이로 인한 5% 이상의 물가상승은 이미 하이퍼인플레이션에 대한 경고등이 키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각 국가의 정부나 중앙은행(한국은행) 은 경제 정책을 잘 세우고,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을 해야 할 것입니다. 더불어 우리 자신도 은행에만 돈을 맡겨두는 게 아니라, 일부는 금과 같은 안전자산에 분배해 두어 위험에 대비해야 할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돈의 가치는 급격히 떨어지지만, 안전자산인 금은 반대로 그 가치가 올라가기 때문에 부동산, 채권, 금 등의 안전 자산에 자산을 잘 리밸런싱하여 리스크에 대비하시기를 권장합니다.
'블리스 경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디스인플레이션 뜻과 특징 (0) | 2023.04.03 |
---|---|
경제용어 디플레이션 원인과 사례 (1) | 2023.04.02 |
꼭 알아야 할 정말 중요한 기본 경제 용어 TOP 5 (0) | 2023.04.01 |
경제 용어 공부, 파이어족 인생을 지키는 상식 (2) | 2023.04.01 |
상여금 뜻, 인센티브(성과급) 뜻 과 예시로 계산해보기 (0) | 2023.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