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란 무엇인가요?
물가란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수준을 의미합니다. 보통 물가는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되며, 수요가 공급보다 많을 때에는 가격이 오르고, 공급이 수요보다 많을 때에는 가격이 내려갑니다. 우리가 구입하는 물건 중에는 옷이나 음식처럼 자주 구매하는 것이 있는가 하면 냉장고나 TV 등과 와 같이 몇 년 만에 한 번씩 구매 하는 것들도 있습니다. 생활 필수품으로서 생활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상품들의 가격들을 파악하고, 상품 하나 하나의 가격보다는 모든 상품의 전반적인 가격 동향이나 그 움직임을 알기 위해 만들어 낸 것을 ‘물가’라고 합니다.

쉽게 용어 해설을 해보면?
마트에 갔는데 라면 가격이 1000원에서 1100원으로 올랐습니다. 이때 우리는 라면 가격이 올랐다고 합니다. 그런데 소주를 사러 갔더니 이번에는 소주가격도 1000원에서 1200원으로 뛴 것입니다. 이때 우리는 소주 가격이 올랐다고 합니다. 그런데, 라면 가격, 소주 가격만 오른게 아니라 식당의 음식 가격, 신발 가격, 옷 가격 등 거의 모든 상품이 가격이 뛰면 우리는 물가가 올랐다 라고 표현합니다.
이러하듯 물가란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수준을 말합니다. 물가는 시장 내에서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되며, 수요가 공급보다 많을 때에는 가격이 상승하고 , 공급이 수요보다 많을 때에는 가격이 하락합니다. 물가란 ‘물건의 가격’을 의미합니다. 만약 우리가 접하는 대부분의 물건의 가격이 올랐다면, 우리는 '물가가 올랐다' 라고 합니다. 그런데 반대로 대부분의 물건 가격이 내렸다면 우리는 '물가가 내렸다' 라고 합니다.
이 물가를 기준으로 소비자가 많이 이용하는 상품의 가격이 뛰었으면, 소비자 물가가 올랐다 라고 말하며, 음식점 사장님들이 많이 사용하시는 상품의 가격이 뛰면, 생산자 물가가 올랐다라고 말합니다. 이밖에도 수출 물가, 수입 물가, 생활 물가 등 수많은 물가 종류가 있습니다.
물가 지수는 무엇인가요?
물가지수는 특정 시간대에 대한 물가의 상승률을 측정한 지수입니다. 대표적인 물가지수로는 소비자물가지수와 생산자물가지수, 근원 물가지수 등이 있습니다.
소비자 물가지수 란?
- 소비자물가지수는 일반적인 소비자들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측정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미국에서는 CPI(Consumer Price Index)가 있습니다..
-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는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물가지수 중 하나로, 일정 시기 내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 가격을 측정하여 인플레이션 또는 디플레이션의 변화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CPI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세부 카테고리로 분류됩니다.
- 식료품 및 비알코올 음료
- 주거 비용
- 가정용품 및 용어
- 의류 및 신발
- 의료 서비스
- 교통비
- 통신비
- 레저 및 문화 서비스
- 교육 서비스
- 숙박 및 식당
- CPI는 일반적으로 통계청이나 중앙은행 등 정부 기관이 발표하며, 경제 전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CPI는 인플레이션 또는 디플레이션의 영향을 받는 소비자에게 상승한 가격에 대한 대처를 계획하는 데도 사용됩니다.
-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는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물가지수 중 하나로, 일정 시기 내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 가격을 측정하여 인플레이션 또는 디플레이션의 변화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CPI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세부 카테고리로 분류됩니다.
생산자 물가지수 란?
- 생산자물가지수는 상품과 서비스를 제조하거나 제공하는 기업들이 지불하는 원자재 가격 등을 측정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미국에서는 PPI(Producer Price Index)가 있습니다.
- 생산자 물가지수(Producer Price Index, PPI)는 생산자가 생산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화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생산자 물가지수는 생산자가 판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화를 측정하기 때문에 소비자 물가지수보다 먼저 반영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생산자 물가지수는 인플레이션의 예측 지표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 생산자 물가지수는 다양한 산업군에서 제조된 상품과 제공된 서비스의 가격을 측정하고, 이를 가중 평균하여 계산됩니다. 주로 원자재, 중간재, 최종제품 등 생산 과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제품의 가격 변화를 반영합니다.
- 생산자 물가지수는 특정 기간 동안의 가격 변화를 반영하기 때문에 경기 전망 및 인플레이션 예측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소비자 물가지수와 비교하여 경제 전반의 가격 수준을 파악하는 데에도 사용됩니다.
근원 물가지수 란?
- 근원물가지수(Producer Price Index, PPI)는 생산자들이 생산하는 상품이나 용역의 가격 변동을 측정한 지수입니다. 즉, 소비자가 구매하는 상품과 달리 생산자가 생산하는 원자재, 부품, 중간재 등의 가격을 측정하는 지수입니다.
- 근원물가지수는 기업들이 원자재나 부품 등을 구입할 때 필요한 비용 증가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여, 기업들이 적정한 가격과 수량을 결정하고 이익을 최대화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또한, 근원물가지수는 제조업 부문의 경기 변동과 인플레이션 경향 등을 파악하는데에도 활용됩니다.
- 근원물가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마찬가지로 범위와 기간, 측정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최종생산자물가지수(Final Demand PPI)와 중간생산자물가지수(Intermediate PPI), 원자재물가지수(Raw Materials PPI)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지수들은 각각 생산 단계에서의 가격 변동을 측정합니다.
물가는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물가를 비롯한 소비자 물가지수, 생산자 물가지수라는 용어를 잘 이해하고 경제 신문이나, 뉴스를 보면 좀 더 이해가 잘되실 것입니다.
'블리스 경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채권과 채권금리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4.09 |
---|---|
경제용어 GDP, 명목GDP 와 실질GDP 를 알아보자 (0) | 2023.04.08 |
경제용어 애그플레이션 원인과 해결 방안 (0) | 2023.04.06 |
경제용어 스테그플레이션 경제와 물가 무엇이 중요한가? (1) | 2023.04.05 |
경제용어 리플레이션이란 무엇일까? (0) | 2023.04.04 |
댓글